ESG 전략

ESG 전략체계
ESG 비전

지속가능한 모빌리티로의 전환
Transformation to Sustainable Mobility
전략 방향
- 친환경 경영 강화
- 인권 경영 체계 구축
- 이해관계자 커뮤니케이션 확대
핵심과제
- 탄소중립 체계 구축전 Value Chain에 걸친 탄소중립 이행 노력을 통해
미래 세대를 위한 지속가능한 환경 조성 - 인권 리스크 관리체계 구축인권경영의 적극적 이행과 함께
사업 운영에 따른 인권침해 예방 및 관련 리스크 완화 - 사회공헌 임팩트 확산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통한
미래 세대의 지속가능성 확보에 기여 - 친환경 제품 개발 확대고객과 자연을 위한 친환경 제품 개발 확대를 통한
글로벌 기업시민으로서의 역할 수행 - 다양성 및 포용성 증진차별없는 사회 구현 및 다양성과 포용성 있는 조직문화 확산을
위한 이행 노력 제고 - 고객경험 혁신 제품 신뢰성 제고고객에게 가치있는 제품 및 서비스를
고객이 필요로 하는 최적의 순간에 제공 - 친환경 사업장 구축지역사회와 자연환경에 미치는 영향 최소화를 위한
사업장 오염물질 배출 저감 - 안전보건 내재화안전사고의 사전 예방, 안전문화 확산 및 내재화를 통한
양질의 안전한 일자리 구축 - 지속가능한 공급망 구축협력사 잠재 ESG 리스크를 평가, 관리 및 개선하기 위한
공급망 ESG 관리 프로세스 구축 - 미래 일자리 창출친환경 분야 인재 채용을 통한 성장동력 확보 및
채용 기회 제공 사회적 기여 확대 등 - 기업문화 혁신구성원 참여와 소통 활성화, 역량 강화를 통한
창의적, 수평적 기업문화 구축 및 혁신적이고 유연한 인재 육성 - 이사회 건전성 확보이사회 건전성 및 운영 효율성 향상 목적
독립성, 다양성, 전문성 확보
탄소중립 전략
비전

2045년 탄소중립 달성
Achieving Carbon Neutrality in 2045
목표
- 친환경 제품 비중 확대를
통한 그린 비즈니스 확대 - 에너지 전환을 통한
친환경 공장 달성 - 지속가능한 제품
생산을 위한 역량 강화
전략 테마
-
R
Responsible
Partnership책임있는
협력사 관리 -
O
Optimization with
Smart Operation스마트 운영 기반의
사업장 최적화 -
A
Accelerating the
Energy Transition재생에너지로의 전환
(RE100 추진) -
D
Design to
Sustainable Mobility지속가능한 모빌리티
디자인 전환
추진 과제
협력사 탄소관리 체계 구축친환경 운송수단 전환
운영 효율화를 통한 에너지 소비 저감에너지 소비 개선을 통한 그린 빌딩 추진
재생에너지 전환무탄소 미래에너지 기술 도입
전동화 비즈니스 전환지속가능한 제품 디자인
탄소중립 로드맵
- 단위 : 원 (KW)
-
Scope 1+2 배출량
Scope 1+2 목표 배출량
목표 배출량(tCO2eq)
BAU 전망값(tCO2eq)

- 1.탄소배출량 전망치(BAU) 산정 기준
- 파워트레인, 시트 중장기 사업계획(‘24~’32년) 및 4개년(‘20~’23년) 평균 원단위를 바탕으로 2032년까지의 배출 전망치 산정
- 2033년 이후 사업계획 6개년(‘27~’32년) 평균 증감율을 바탕으로 2045년까지의 배출 전망치 산정
- 2.탄소감축 목표 산정기준
- 국내외 전체 사업장 RE100 달성 전략에 따라 Scope 2 감축 목표 산정
- SBTi 감축 경로 기반 생산공정 에너지 효율 투자 및 전기차 전환에 따른 Scope 1 감축 목표 산정